[네트워크] osi 7계층과 TCP/IP .2
TCP/IP
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있는 프로토콜이다.수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인터넷 통신을 하는데 있어 가장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이다.
TCP/IP는 OSI와 달리 4계층으로 구성 되어있다.
1L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 : OSI의 세션과 표현 계층 모두 포함한다.
2L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3L 전송계층(Transport Layer)
4L 응용계층(Application Layer) : OSI의 물리 계층을 포함 하고 있다.
이렇게 4계층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각 역할은 OSI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따로 설명을 적진 않았다.
이 TCP/IP 4계층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면
브라우저 <--> TCP <--> IP<--> Ethernet ㄱ
|
http TCP IP Ethernet |
|
server <--> TCP <--> IP <--> Ethernet 」
사용자는 브라우져를 통해 server에게 페이지 요청을 한다. (http 프로토콜)
메시지단위의 사용자 요청 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전달이 용이한 TCP 패킷으로 변환되어진다.(TCP 프로토콜)
이 패킷에 전달하기 위한 목적지 주소와 현재 자신의 주소를 명시.(IP 프로토콜)
Ethernet 장치를 거쳐 데이터를 광신호 혹은 전자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
server는 ethernet을 통해 받을 신호를 비트로 변환하여
네트워크 계층에서 이 IP패킷을 분석하여 이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판단.
목적지가 맞게 왔다면 전송계층에서 이 패킷을 세그먼트로 변환, 순서 재조합, 이 데이터를 검사하여 누락되거나 오류가 있을 시 재전송을 요청. 응용계층에게 전달.
TCP/IP 는 OSI와 달리 정식으로 제정된 표준은 아니다. 그래서 서로 규격의 내용, 4계층과 7계층의 차이가 있다. 하지만 구조만 다를 뿐 완전히 다른 것을 말하고 있지않다.
OSI가 좀 더 세분화 되어있을 뿐 둘 다 같은 기능을 한다.
TCP/IP가 더 구현이 용이하고 OSI모델이 제정 되기 전부터 사용 되어진 프로토콜이며
현재까지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.
댓글
댓글 쓰기